스프링

[JPA] 다대다(N:M) 관계 매핑, 좋아요 기능 구현

gilssang97 2021. 10. 24. 18:31

시작하기에 앞서

두 테이블끼리 연관 관계를 맺을 때, 다양한 연관 관계를 가진다.

이는 일대다(1:N), 다대일(N:1), 일대일(1:1), 다대다(N:N)으로 이루어져있다.

일대다와 다대일 같은 경우 서로 관계를 맺기 위해 한 쪽 테이블에서 하나의 외래키를 가져 연관 관계를 관리한다.

(테이블에서는 다(N)쪽에서 외래키를 관리하고 JPA에서는 다(N)쪽에서 관리하는 것을 지향한다.)

일대일 같은 경우에서도 일대다와 다대일과 비슷하게 한 쪽 테이블에서 하나의 외래키를 관리하면 된다.

하지만, 위와 같이 어느 한쪽에서 꼭 관리해야될 필요는 없고 둘 중 한 곳에서만 관리하면 된다.

보통, 서버 개발자의 경우 참조의 용이성 등 같은 이유로 주 테이블에 외래키를 두는 것을 선호한다.

하지만, DBA의 경우 외래키의 NULL 값 허용, 추후 주테이블과 보조테이블간의 관계의 일대다(N:1) 관계 변경으로 인한 변경 파급력 최소화 등의 이유로 보조 테이블에 외래키를 두는 것을 선호한다.

그렇지만 결국 일대다, 다대일, 일대일은 정규화된 테이블 2개로 관계를 표현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렇다면 다대다를 살펴보자.

DB를 공부한 사람은 다 알겠지만 다대다의 관계는 정규화된 테이블 2개로 관계를 표현할 수 없다.

그에 따라, 두 테이블 사이에 중간 테이블을 두어 관계를 풀어줘야한다.

JPA에서는 다음 경우를 위해 @ManyToMany어노테이션을 제공한다.

하지만, 이 어노테이션은 우리가 지양해야할 부분 중 하나이다. 그 이유는 이 부분이 실무에서 한계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중간 테이블을 생성해주긴 하지만 묵시적으로 생성해주기 때문에 자기도 모르는 복잡한 조인의 쿼리가 발생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 우리는 중간 테이블에 두 테이블의 기본키를 기본키이자 외래키로 들고와서 추가로 필요한 컬럼이 존재할 확률이 크지만, 중간 테이블에 필요한 추가 컬럼을 사용할 수 없다. (두 테이블에 추가된 컬럼에 대해 매핑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우리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대다 관계를 일대다, 다대일 관계로 풀어 직접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를 간단한 예시를 통해 알아보자.

개발환경

  • Spring Boot : 2.5.6
  • Gradle : 7.2
  • Querydsl : 4.4.0

엔티티

학생은 여러 게시물에 대해 좋아요를 누를 수 있고, 한 게시물은 여러 학생에 의해 좋아요를 받을 수 있다.

이 문장을 보면 이 관계가 다대다 관계임을 알 수 있다.

이 부분에 대해서 중간 테이블을 직접 생성하여 일대다 다대일 관계로 풀어 해결해보자한다.

클래스 다이어그램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실제로 구현한 엔티티는 다음과 같다.

학생

public class Student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SEQUENCE, generator = "STUDENT_SEQ_GENERATOR")
    @Column(name = "student_id")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email;
    private String password;
    private String name;
    private String nickname;
    private String department;
    private String major;

    protected Student() {
    }

    @Builder
    public Student(String email, String password, String name, String nickname, String department, String major) {
        this.email = email;
        this.password = password;
        this.name = name;
        this.nickname = nickname;
        this.department = department;
        this.major = major;
    }
}
  • 학생은 식별자와 다양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 좋아요와 1:N관계를 가져 @OneToMany어노테이션을 선언하였다.

좋아요

@Entity
@Getter
@NoArgsConstructor(access = AccessLevel.PROTECTED)
@SequenceGenerator(
        name="POSTLIKE_SEQ_GENERATOR",
        sequenceName = "POSTLIKE_SEQ"
)
public class PostLike {
    @Id @GeneratedValue
    @Column(name = "postlike_id")
    private Long id;

    @ManyToOne
    @JoinColumn(name = "student_id")
    private Student student;

    @ManyToOne
    @JoinColumn(name = "board_id")
    private Board board;

    private LocalDateTime likeTime;

    @Builder
    public PostLike(Student student, Board board, LocalDateTime likeTime) {
        this.student = student;
        this.board = board;
        this.likeTime = likeTime;
    }
}
  • 좋아요는 식별자와 학생 엔티티와 게시물 엔티티를 외래키로 받는다.
  • 추가적으로 좋아요를 누른 시각을 저장한다.
  • 단방향으로 설계하였다.

게시물

@Entity
@Getter
@Setter
@SequenceGenerator(
        name="BOARD_SEQ_GENERATOR",
        sequenceName = "BOARD_SEQ"
)
@NoArgsConstructor(access = AccessLevel.PROTECTED)
public class Board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SEQUENCE, generator = "BOARD_SEQ_GENERATOR")
    @Column(name = "board_id")
    private Long id;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student_id")
    private Student writer;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category_id")
    private Category category;

    @OneToMany(mappedBy = "board", cascade = CascadeType.ALL)
    private List<Attachment> attachedFiles = new ArrayList<>();

    @DateTimeFormat(pattern = "yyyy-MM-dd HH:mm:ss")
    private LocalDateTime writeTime;
    private Boolean isDeleted;
    private String title;
    private String content;
    private Integer hit;

    @Builder
    public Board(Student writer, Category category, List<Attachment> attachedFiles, LocalDateTime writeTime, Boolean isDeleted, String title, String content, Integer hit) {
        this.writer = writer;
        this.category = category;
        this.attachedFiles = attachedFiles;
        this.writeTime = writeTime;
        this.isDeleted = isDeleted;
        this.title = title;
        this.content = content;
        this.hit = hit;
    }

    public void setAttachment(Attachment attachment) {
        this.attachedFiles.add(attachment);
        attachment.setBoard(this);
    }
}
  • 게시물은 식별자와 다양한 정보들을 가지고 있다.
  • 좋아요와 1:N관계를 가져 @OneToMany어노테이션을 선언하였다.

다음과 같이 단순히, 다대다(N:M) 관계를 일대다(1:N), 다대일(N:1) 관계로 풀어 사용해보았다.

Repository

단순히, CRUD에 대해서는 Spring Data JPA를 활용해 간단하게 처리하였다.

public interface PostLike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PostLike, Long>, PostLikeCustomRepository {
}

추가적으로 다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Custom한 Repository를 구성하여 Querydsl로 구현하였다.

PostLikeCustomRepository를 구현한 후, 이를 구현하는 구현체를 구현하였다.

public class PostLikeCustomRepositoryImpl implements PostLikeCustomRepository{

    JPAQueryFactory jpaQueryFactory;

    public PostLikeCustomRepositoryImpl(EntityManager em) {
        this.jpaQueryFactory = new JPAQueryFactory(em);
    }

    public Optional<PostLike> exist(Long studentId, Long boardId) {
        PostLike pLike = jpaQueryFactory
                .selectFrom(postLike)
                .where(postLike.student.id.eq(studentId),
                        postLike.board.id.eq(boardId))
                .fetchFirst();

        return Optional.ofNullable(pLike);
    }

    public long findPostLikeNum(Long boardId) {
        return jpaQueryFactory
                .selectFrom(postLike)
                .where(postLike.board.id.eq(boardId))
                .fetchCount();
    }
}

exist는 좋아요를 누른 적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메소드이다.

해당 부분은 학생과 게시물이 주어지면 해당 값을 통해 비교하여 단순히 찾아지면 바로 종료하여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진행했다.

추가적으로 해당 PostLike 객체를 사용하여 Boolean이 아니라 PostLike 객체를 반환했다.

(count의 경우 전체를 탐색한 후 count() > 0을 진행한다.)

findPostLikeNum은 게시물을 입력받고 해당 게시물의 좋아요 총 개수를 구하는 메소드이다.

단순히 fetchCount를 이용해 구한 뒤 반환하였다.

Service

@Service
@Transactional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PostLikeServiceImpl implements PostLikeService{

    private final PostLikeRepository postLikeRepository;
    private final BoardRepository boardRepository;

    // 좋아요 및 취소 
    public Boolean pushLikeButton(PostLikeDto postLikeDto) {
        postLikeRepository.exist(postLikeDto.getStudent().getId(), postLikeDto.getBoardId())
                .ifPresentOrElse(
                        postLike -> postLikeRepository.deleteById(postLike.getId()),
                        () -> {
                            Board board = getBoard(postLikeDto);
                            postLikeRepository.save(new PostLike(postLikeDto.getStudent(), board, LocalDateTime.now()));
                        });

        return true;
    }

    @Transactional(readOnly = true)
    public Board getBoard(PostLikeDto postLikeDto) {
        return boardRepository.findById(postLikeDto.getBoardId()).orElseThrow(() -> new IllegalArgumentException("해당 게시글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

    // 좋아요 개수
    @Transactional(readOnly = true)
    public PostLikeResponseDto getPostLikeInfo(PostLikeDto postLikeDto) {
        long postLikeNum = getPostLikeNum(postLikeDto);
        boolean check = checkPushedLike(postLikeDto);

        return new PostLikeResponseDto(postLikeNum, check);
    }

    @Transactional(readOnly = true)
    public boolean checkPushedLike(PostLikeDto postLikeDto) {
        return postLikeRepository.exist(postLikeDto.getStudent().getId(), postLikeDto.getBoardId())
                .isPresent();
    }

    @Transactional(readOnly = true)
    public long getPostLikeNum(PostLikeDto postLikeDto) {
        return postLikeRepository.findPostLikeNum(postLikeDto.getBoardId());
    }
}

실제로 Repository의 메소드를 사용하기 위해 getBoard를 통해 게시물을 찾고 해당 게시물에 대해 좋아요를 누르지 않은 학생이라면 좋아요를 누르게 하고, 좋아요를 눌렀던 학생이라면 좋아요를 취소하게 만들었다.

그리고 뷰에 출력하기 위해 좋아요 개수를 가져오고 해당 학생이 좋아요를 눌렀었는지에 대한 부분을 출력해주었다.

Test

좋아요

@Test
public void 좋아요() throws Exception {
    //given
    Student student = new Student("testID@gmail.com", "testPW", "테스터", "테스터", "컴공", "백엔드");
    Student joinStudent = studentService.join(student);

    BoardAddForm boardAddForm = new BoardAddForm("테스트 글", "테스트 글입니다.", CategoryType.BACK, null, null);
    BoardPostDto boardPostDto = boardAddForm.createBoardPostDto(joinStudent);
    Board board = boardService.post(boardPostDto);

    //when
    PostLikeDto postLikeDto = new PostLikeDto(joinStudent, board.getId());
    postLikeService.pushLikeButton(postLikeDto);

    //then
    assertEquals(1, postLikeService.getPostLikeInfo(postLikeDto).getPostLikeNum());
}
  • 가입한 한 학생이 게시물을 작성하고 좋아요를 눌렀다.
  • 좋아요의 개수는 1과 같아야 한다.

좋아요 취소

@Test
public void 좋아요취소() throws Exception {
    //given
    Student student1 = new Student("testID1@gmail.com", "testPW1", "테스터A", "테스터A", "컴공", "백엔드");
    Student joinStudentA = studentService.join(student1);

    Student student2 = new Student("testID2@gmail.com", "testPW2", "테스터B", "테스터B", "컴공", "백엔드");
    Student joinStudentB = studentService.join(student2);

    BoardAddForm boardAddForm = new BoardAddForm("테스트 글", "테스트 글입니다.", CategoryType.BACK, null, null);
    BoardPostDto boardPostDto = boardAddForm.createBoardPostDto(joinStudentA);
    Board board = boardService.post(boardPostDto);

    PostLikeDto postLikeDtoA = new PostLikeDto(joinStudentA, board.getId());
    postLikeService.pushLikeButton(postLikeDtoA);

    PostLikeDto postLikeDtoB = new PostLikeDto(joinStudentB, board.getId());
    postLikeService.pushLikeButton(postLikeDtoB);

    //when
    postLikeService.pushLikeButton(postLikeDtoB);

    //then
    assertEquals(1, postLikeService.getPostLikeInfo(postLikeDtoB).getPostLikeNum());
}
  • 두 학생이 가입을 하고 한 학생이 게시물을 작성하였다.
  • 두 학생 다 좋아요를 눌렀다.
  • 한 학생이 좋아요를 다시 눌러 취소했다.
  • 좋아요의 개수는 1과 같아야 한다.

좋아요 개수

@Test
public void 좋아요개수조회() throws Exception {
    //given
    Student student1 = new Student("testID1@gmail.com", "testPW1", "테스터A", "테스터A", "컴공", "백엔드");
    Student joinStudentA = studentService.join(student1);

    Student student2 = new Student("testID2@gmail.com", "testPW2", "테스터B", "테스터B", "컴공", "백엔드");
    Student joinStudentB = studentService.join(student2);

    BoardAddForm boardAddForm = new BoardAddForm("테스트 글", "테스트 글입니다.", CategoryType.BACK, null, null);
    BoardPostDto boardPostDto = boardAddForm.createBoardPostDto(joinStudentA);
    Board board = boardService.post(boardPostDto);

    PostLikeDto postLikeDtoA = new PostLikeDto(joinStudentA, board.getId());
    postLikeService.pushLikeButton(postLikeDtoA);

    PostLikeDto postLikeDtoB = new PostLikeDto(joinStudentB, board.getId());
    postLikeService.pushLikeButton(postLikeDtoB);

    //when
    long postLikeNum = postLikeService.getPostLikeInfo(postLikeDtoB).getPostLikeNum();

    //then
    assertEquals(2, postLikeNum);
}
  • 두 학생이 가입을 하고 한 학생이 게시물을 작성하였다.
  • 두 학생 다 좋아요를 눌렀다.
  • 좋아요의 개수는 2와 같아야 한다.

좋아요 여부

@Test
public void 좋아요여부확인() throws Exception {
    //given
    Student student = new Student("testID@gmail.com", "testPW", "테스터", "테스터", "컴공", "백엔드");
    Student joinStudent = studentService.join(student);

    BoardAddForm boardAddForm = new BoardAddForm("테스트 글", "테스트 글입니다.", CategoryType.BACK, null, null);
    BoardPostDto boardPostDto = boardAddForm.createBoardPostDto(joinStudent);
    Board board = boardService.post(boardPostDto);

    //when
    PostLikeDto postLikeDto = new PostLikeDto(joinStudent, board.getId());
    postLikeService.pushLikeButton(postLikeDto);
    Boolean check = postLikeService.getPostLikeInfo(postLikeDto).getCheckLiked();

    //then
    assertEquals(true, check);
}
  • 가입한 한 학생이 게시물을 작성하고 좋아요를 눌렀다.
  • 해당 학생은 좋아요를 눌렀다고 나와야 한다.

테스트 결과

다음과 같이 테스트가 잘 통과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정리

다음과 같이 최대한 다대다를 지양하고 일대다, 다대일 관계로 풀어 사용하는 것을 지향하자.

물론, 일대다 다대일 관계로 풀어 사용하는 것에 대해 식별자를 대리키로 설정하지 않고 두 테이블의 식별자를 식별자이자 외래키로 하는

복합키 전략이 존재하긴 하지만 전자의 방법이 효율적이기에 전자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지향하는 것이 좋다.